시사상식(국제) 5

30-50 클럽? 무슨 클럽이야? 그 의미를 알려줄께요.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국가를 가리키는 용어다. 현재 30-50 클럽에 가입된 국가는 일본(1992), 미국(1996), 영국(2004), 독일(2004), 프랑스(2004), 이탈리아(2005), 한국(2019) 등 7개국에 불과하다. 30-50 클럽은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국가를 가리키는 용어다. 즉, 한 국가가 높은 수준의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민경제 규모의 기준이 되는 1인당 국민소득과 함께 적정선의 인구경쟁력도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 인구가 많으면 국민소득이 적고, 국민소득이 높으면 인구가 적은 경우가 많아 한 국가가 이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기는 쉽지 않다. 실..

진흙쿠키 과연 먹을 수 있는가?

이름 그대로 진흙으로 만드는 쿠키로, 아이티에서 이전부터 있었지만 2010년의 대지진 이후 주민들이 먹는 모습이 영상에 담기며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최빈국에서 못 먹을 재료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21세기의 꿀꿀이죽이라 할 수 있는데, 문제가 꿀꿀이죽은 음식 맛이라도 나며 칼로리라도 어느정도 있으나 진흙쿠키는 칼로리도 거의 없다는 점에서 꿀꿀이죽보다 심각하다. 제조 방법은 간단하다. 진흙을 체에 넣고 흔들어 고운 하얀 모래를 걸러낸 것을 물에 개어 소금, 버터, 마가린, 밀가루 등을 첨가하고 모양을 빚어서 강한 태양 아래에 말리면 끝. 위의 영상에 의하면 첨가물마저도 안 들어갈 때가 많은 모양이다. 원재료가 다름아닌 흙이기에 동물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말리는 정도로는 병균, ..

할렘은 정말 위험한 동네일까?

뉴욕시 맨해튼 북부의 지역. 보통 센트럴 파크보다 북쪽 지역을 말하며, 다시 동서로 잘라서 웨스트할렘과 이스트할렘으로 나뉜다. 보통 말하는 "할렘"은 이스트 할렘. 미국 식민지 개척 초기에 뉴욕에 자리잡고 있던 네덜란드 이주민들이 네덜란드 도시 하를럼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당시 뉴욕은 뉴 암스테르담이었고 암스테르담 옆의 도시인 하를럼의 이름을 따다가 이 지역에 붙였다고한다. 우범지역 19세기만 하더라도 상당히 전원적인 분위기의 상류층 주거지였지만, 19세기 후반 농장 생산성이 떨어지고 1901년 발효될 예정이던 새로운 주택법안을 피하기 위해 급속도로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폴로 경기도 열리고 오페라 하우스도 생기는 등 상당히 괜찮은 지역이었지만, 주택의 과다공급으로 인해 주택가격이 폭락하면서 흑인들이 급..

소울푸드가 전통 한국 음식이라고? 소울푸드의 의미

미국 요리의 일종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유 식문화를 가리키는 말이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서는 '전통적으로 미국 남부 흑인들과 관련된 음식'으로 정의를 내린다. 소울 푸드의 근원은 아프리카 요리, 그 중에서도 서아프리카의 식문화이다. 서아프리카에서 취식하던 작물들이 15세기 이후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서 미국 대륙으로 전파되었고, 이런 음식들은 흑인 노예들의 주식으로 자리잡았다. 참고로 이렇게 노예로 끌려온 흑인들은 남부의 백인들과 혼혈을 이루어 크리올을 형성하였고, 이들의 식문화는 케이준으로 대표되는 아카디안들의 식문화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식문화와도 결합하면서 남부의 독특한 식문화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남부에서 형성된 미국 흑인들의 식문화는 20세기 초반에서 중반에 걸쳐 흑인들이 북부로 대거..

케이준, 먹는 것 아니야? 케이준에 담긴 역사 이야기

1620년 경, 지금의 캐나다 노바스코샤의 아카디아(Acadia) 지역에 이주해서 정착해 살던 프랑스인들이 1755년 영국인들에 의해 미국 루이지애나 지방에 강제 이주하여 살게 되었고, 아카디아인이라는 뜻의 프랑스어 단어 'Acadian'[아카댕]이 지역민들에 의해 'Cadien'[카댕]으로 와전된 후, 구개음화와 영어화를 거쳐 지금의 'cajun'[케이준]으로 부르는 식으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해당 지방은 척박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들의 식생활은 프랑스 요리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오히려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토속적인 요리를 발전시켰다. 여기서 흔히 말하는 '케이준 스타일' 이 탄생. 오늘날 케이준이라고 하면 루이지애나 근방에 사는 프랑스계 미국인들, 또는 그들의 문화 방식을 의미..